당뇨병 환자의 식단 조절이 왜 중요할까?

당뇨병 환자에게 식단 관리는 평생에 걸친 숙제와 같다. 치료, 약 복용과 더불어 평상시 식단 조절을 통해 혈당을 관리해야만 각종 합병증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. 식단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당뇨병 환자를 위해 하이닥 의사 3명이 나섰다.

2021-10-03     DEN 에디터

 

Profile 김상학

•現 생연제일내과의원 내과 원장

•내과 전문의

•의정부지방검찰청 의료자문의

•원자력병원 임상자문의

•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외래교수

 

“연속혈당측정기를 활용해 자신에게 맞는 식습관을 찾는다”

당뇨병 환자가 식단 조절을 하면 당화혈색소를 1~2% 감소시킬 수 있으며, 당뇨병 전 단계부터 식습관을 개선한다면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. 혈당 조절을 잘하면 미세혈관 합병증이나 대혈관 합병증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.

사람마다 각 음식에 대한 반응이 다 다르다. 그 때문에 음식을 먹을 때마다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신에게 맞는 음식과 식습관을 찾는 것이 좋다. 식후 혈당 급상승은 당뇨병, 심혈관 질환, 암 등 여러 질환에 위험 요소가 된다. 당화혈색소 수치가 비슷해도 식후 혈당이 급상승할수록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.

최근에 나온 연속혈당측정기의 데이터를 계속해서 비교해 먹은 후 혈당이 급상승하지 않는 음식을 찾는다. 이 음식이 본인에게 맞는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. 이러한 음식 위주로 식단을 구성한다면 혈당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, 비만이나 당뇨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. 연속혈당측정기는 당화혈색소 및 손가락 채혈 방식만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저혈당 또는 고혈당을 확인할 수 있어서 생활 습관 교정이나 약물 치료에 도움을 준다.

 

※하이닥 유튜브를 통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Profile 채명훈

•現 연세제일내과의원 원장

•내과 전문의

•소화기내과 분과전문의 /소화기내시경 세부전문의

•세브란스병원 전임의

•대한임상초음파학회 초음파 인증의 

 

“커피믹스, 과일 주스, 탄수화물은 절대 줄일 것”

가벼운 당뇨병은 식사 조절과 운동만으로도 혈당 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, 약물 복용을 하더라도 꼭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. 커피믹스, 과일 주스, 탄수화물 섭취는 줄이고 식후 혈당을 크게 높이지 않는 음식을 선택해 과식하지 않도록 양을 조절해 먹는 것이 중요하다.

꾸준한 운동은 혈액 내 포도당 사용을 활성화하고 인슐린이 일을 잘하도록 만들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준다. 당뇨병 환자는 식전 운동 시에 저혈당의 위험이 있고 주로 식후 혈당이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운동은 식후 30분에서 1시간 안에 하는 게 좋다. 걷기나 조깅 등 가벼운 유산소운동도 도움이 된다. 근육 운동 또한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을 낮춘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. 특히 우리 몸의 대근육, 즉 철봉 매달리기 등을 통한 등 근육 키우기, 스쿼트 등을 통한 엉덩이나 허벅지 근육 키우기도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.

단, 운동 중 어지럽거나 무기력하거나 식은땀이 흐르는 등 저혈당 증세가 나타난다면 겁먹지 말고 운동 강도나 시간, 횟수를 줄여보고 사탕이나 초콜릿 등을 병행, 섭취하는 게 좋다. 이후에도 저혈당 증상이 지속된다면 주치의와 상의해 약물 용량을 줄여보는 것이 좋다.

 

※하이닥 유튜브를 통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